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mg
- qtdesigner
- DataSet
- Python
- TF
- Perceptron
- 세계대전
- TFRecord
- numpy
- 브렉시트
- keras
- error
- 딥러닝
- 세계사
- Training
- 퍼셉트론
- 블록체인
- deeplearning
- itksnap
- terminal
- dtype
- loss
- TensorFlow
- Inference
- opencv
- 비트코인
- pyqt
- 유로화
- cv2
- 유가 급등
- Today
- Total
목록재밌는 이야기 (12)
활연개랑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와 사고의 복잡성'에 집중하여 현대적인 인식을 개척했다고 평가되곤 한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현대 철학을 뒤흔든 사고의 혁명가'라고 불린다. 20세기 철학의 중요한 인물로,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은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트겐슈타인은 1889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났다. 비트겐슈타인의 주된 사상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초점을 맞췄다. '언어 게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며 언어의 사용과 의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은 "논리 철학 논고"와 "철학 탐구"라는 두 작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논리 철학 논고"에서는 전기의 사상, "철학 탐구"에서는 후기 사상이 담겨있다. 전기: "논리 철학 논고" 비트겐슈타인의 전기는 그의 철학적 탐구의 시작점으로, 철학적..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 위 구절은 실존주의를 이해하는 열쇠로, "본질이 실존을 앞선다"는 사물의 존재 양식과 달리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 "는 인간의 존재 양식을 개념적으로 구분함으로써 실존주의의 핵심 개념인 '인간의 주체성'을 이끌어낸다. 즉, 실존주의는 개인으로서 인간의 주체적인 존재성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 의미를 찾기 이전에, '카메라'를 예시로 들어 사물에 대해 생각해보자. '카메라'는 존재하기에 앞서 카메라를 발명하거나 제작한 사람의 머릿 속에 '카메라'의 본질이 들어있다. 즉, 무엇때문에 카메라를 만들고 재료는 무엇이 될지, 그리고 모양은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것이 제작한 사람의 머릿 속에서 먼저 구상될 것이고 그 이후에 구상에 따..
세계는 나의 표상이다 19세기 독일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대표적인 염세주의 사상을 가진 철학자이다. 그에 의하면, 우리 인생은 살만한 가치가 전혀 없으며 고통의 연속이다. 질병과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자연재해, 착취, 궁핍을 겪지 않을 만큼 운이 좋다고 해도, 우리 삶은 남들보다 아주 조금 나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는 욕구와 욕망이라는 역학이 인간을 구조적으로 쉼없이 분투하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쇼펜하우어는 주장한다. 염세주의 (厭世主義) 세계와 인생에는 아무 가치가 없으며 개선이나 진보는 불가능하다고 보는 사고방식 인간은 존재하는 한 끝없이 갈구한다. 산다는 것은 욕망한다는 것이고, 모든 욕망은 부재를 전제한다.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한, 부재로 인한 고통을 겪게 된다. 원하는 것을 얻..
중세시대는 "신의 시대"라고도 불리울 정도로 "신은 과연 존재하는가?"에 대한 꾸준한 의문과 답변을 제시했던 철학 시대이다.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아카데미아 폐쇄(529)~ 루터의 종교개혁(1517) 의 시대를 중세철학 시대라고 구분한다.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1225-1274, 이탈리아) 토마스 아퀴나스는 중세시대 대표적인 철학자이자 신학자이다. 많은 철학자들은 신이 존재한다는 증명을 제시했다. 대표적인 논증으로는 존재론적 논증 / 우주론적 논증 / 목적론적 논증 이 있는데,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 중 우주론적 논증으로 신이 존재한다고 증명했다. 간단하게 말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우리가 살고있는 이 세상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부터 출발하여 우리가 하나님이라고 부르는 궁극적 실재가 없었다면..
Philo사랑Sophia 지혜Philosophy 지혜를 사랑한다 -철학철학은 그리스에서 탄생·출현 했어. 왜 하필 그리스일까..? 세 가지 이유를 알아보자. 첫 번째로, 그리스는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섞여 있어서, 어떤 고정된 전통 방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었음.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생긴 다양한 사고가 철학의 발전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겠지. 두 번째로, 그리스는 그 당시 경제적으로 상당히 부유했어. 노예제도가 있어서 노예들이 대부분의 일을 했기 때문에, 그리스 사람들은 시간적으로 여유롭게 생각하고 학문을 연구할 수 있었겠져? 우리의 삶처럼 팍팍하지 않았다구~ 그래서 철학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던 것 같아. 마지막으로, 그리스 사람들은 세계를 체계적으로 ..
미국이 휘청이면 온 세계가 휘청일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한 미국~ 미국은 왜 '천조국'이라고 불릴까? 미국이 천조국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국방비가 말그대로 우리나라돈으로 천조가 넘어서임. 그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미국이 지정학적으로 아주 최고인 북아메리카대륙에 위치한다는 점입니다. 1. 북쪽으로는 산맥, 숲들이 빽빽하게 있어서 캐나다를 단절 2. 남쪽으로는 사막,고지대들이 멕시코를 단절 3. 동쪽서쪽으로는 태평양과 대서양이 있어 동아시아와 유럽 국가들로부터 완벽하게 고립가능 4. 이 큰 땅에 흐르고 있는 방대한 강줄기 - 배가 다닐 수 있는 수로가 12개나 있음 .. 이게 대박인 이유는 운송의 효율성때문. 19세기에 그 넓은 땅을 '강'만으로도 이동가능했음 그래서 발전 초기에 철도나 도로같은거에 돈 ..
고흐는 어디서든 인기가 많죠저도 일생이 스펙타클해서 그 그림 하나하나를 보면 그 때 고흐가 뭐 했는 지 기억할 수 있고 ,,, 참 재밌어 그리고 고흐 그림을 직접 본 적이 있는데 (진짜 고흐가 그린 건 아니고 똑같이 만들어놓은 거) 고흐가 유화로 그림을 그리잖음. 근데 유화로 그린 '별이 빛나는 밤에'는 진짜 살아 움직이는 것 같고 넘 아름답더라고..그 시절에 그 그림을 그리고 있던 고흐를 상상하면 그 장면이 너무 아름다운거임유화는 ↓이런 질감의 그림그래서 저는 이 시점으로부터 유화를 좋아하게됐어요~ 원래는 그냥 그랬는데 고흐때문에 유화가 너무 아름답다는 걸 실감해가지고.... ㅋㅎㅎ고흐는 원래 화가를 꿈꾸지 않았다. 고흐는 1853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났어.고흐에게는 5명의 동생이 있었는데 그중..
유럽연합EU는 왜 생겼을까???? 세계 1,2차대전 후에 유럽은 피해를 진짜 많이 봤음 그 후에는 심지어 초 강대국 미국(자본주의)과 소련(공산주의) 사이에서 두 편으로 찢겨져서 아주 힘든 상황이었음 ㅠㅠ 이 상황에서 유럽은 '아...더이상의 싸움은 안돼....우리끼리 뭉쳐야해.....' 라고 생각하게됨. 그래야 미국이랑 소련 사이에 낑겨있는 힘든 삶에서 벗어날 수 있으니깐요.... 마음속으로는 알겠는데 막상 하려니까 음 ....뭐부터해야하지? 싶었을거예요. 근데 이 때 마침 구세주가 나타남 . 바로 미국임 (4편에 언급되어있지만 ..이 글 먼저 보는 누군가가 있을까봐 설명해주자면) 미국과 소련은 군사력 경쟁에 지쳐서 서로 '우리 냉전 긴장상태 잠시 완화시키자.. 우리 좀 쉬자... 우리 둘 다 힘들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