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oss
- 브렉시트
- 퍼셉트론
- TensorFlow
- img
- TFRecord
- Python
- pyqt
- 딥러닝
- qtdesigner
- 세계대전
- terminal
- numpy
- opencv
- deeplearning
- Perceptron
- 세계사
- error
- itksnap
- Training
- DataSet
- keras
- Inference
- 유로화
- dtype
- cv2
- 유가 급등
- 블록체인
- TF
- 비트코인
- Today
- Total
목록시사 정리 (21)
활연개랑
메타무이 블록체인 메타무이 블록체인은 내부 안에 또 다른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는 블록체인이다. 이것은 디지털 화폐와 디지털 자산의 생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인이나 은행이 담보 자산을 기반으로 새로운 화폐를 생성하고 자체 블록체인을 보유할 수 있는 분산형 신용 뱅킹이 가능하다. 메타무이블록체인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또 다른 플랫폼을 만들 수 있는 최초의 '메타' 블록체인 플랫폼 중 하나이다. 이는 이용자가 암호화폐와 디지털 화폐, 토큰화된 자산을 발행할 수 있고 각각 자체 블록체인을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계약 또는 체인 코드 기반 접근 방식에서는 발행된 토큰이 이더리움이나 하이퍼레저와 같은 기본 블록체인의 맨 위에 위치하게 되고, 모든 토큰은 이미 혼잡한 블록체인을..
Web 3.0이란 컴퓨터가 시멘틱 웹(semantic web) 기술을 이용해 웹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 기술을 말한다. 웹 3.0의 차별점은 탈중앙화이며, 현실과 가상의 결합 등을 특징으로 한다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웹3.0은 가상화폐 시장의 활황과 함께 주목받기 시작했다. 시멘틱 웹(semantic web) : 컴퓨터가 정보 자원의 뜻을 이해하고, 논리적 추론까지 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 웹 웹 3.0 이전의 웹2.0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튜브, 페이스북(메타), 인스타 같은 플랫폼 기업으로 예를 들 수 있다. 이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 댓글을 달면서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하지만, 그 과정은 중앙집중화된 플랫폼 기업으로 부터 일어나는 ..
비트코인 지갑은 Key관리, 잔액관리, 거래생성, 거래확인, 거래내역 관리를 하는 기능이 있다. 크게 핫 월렛과 콜드월렛으로 나뉜다. 핫 월렛 대부분의 시간이 모바일 기기, 데스크탑 및 인터넷 브라우저 등에 연결됨 핫 월렛의 유형은 모바일 지갑과 데스크탑 및 브라우저 지갑으로 분류 콜드월렛 거래가 발생할 때만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 콜드월렛의 유형은 하드웨어 지갑과 종이지갑으로 분류 비트코인의 지갑 주소 사용자가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주소가 부여됨 (QR code) 할당받은 주소로 다른 사람과 거래 가능 또한 거래가 승인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되었는지에 대한 여부와 잔액 확인 가능 지갑에 부여된 키를 분실하면 본인의 책임 비트코인 지갑 구성요소 비트코인 지갑은 개인키(Private key),..
비트코인의 블록은 1MB로 크기 제한 크기를 늘리면 DDos 공격 등에 취약 현재는 초당 3개의 거래를 처리 크기가 제한되면 공급
블록체인에는 블록 헤더와 블록 바디가 있습니다. 블록 헤더 (Header) 헤더에는 이전 블록의 해씨 주소 값이 있습니다. 해시 주소 값으로 이전 블록이랑 연결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그렇게 각 블록들이 연결되어 체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버전 (4byte) - 비트코인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표시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 (32byte) -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 값을 표현 머클 루트 (32byte) - 머클트리의 루트 노드 값을 표현 자식노드의 트랜잭션 거래에 변화가 일어나면 머클노드의 해시값도 변하게 되고, 해시값이 변하면 블록에 대한 거래가 무효가 됨 => 보안기능 타임스탬프 (4byte) - 이 블록이 생성된 날짜와 시각을 표현 비츠 (4byte) - 논스 계산 난이도 조절용 수치 논스 (4b..
비트코인의 구성원으로는 풀 블록체인 노드, lightweight 노트, 채굴자(miner) 노드로 구성된다. 참고로, 3rd-party(서드파티) API 클라이언트의 형태도 되고, 안정성 문제 때문에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원이라고 할 수는 없다. 풀(Full) 블록체인 노드 풀 블록체인 노드는 블록체인 데이터 전체를 관리하는 노드다. (중/대형 컴퓨터) Lightweight (SPV노드) lightweight노드는 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 (SPV) 노드라고도 하며, 블록체인 전체가 아닌 블록의 헤더 정보만 가지고 있다. (일반 컴퓨터, 스마트 기기) 채굴자 miner 각 노드가 보내는 트랜잭션들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들을 모아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한 후 풀 노드를..
블록체인의 특징 탈중앙화 (Decentralization) 투명성 (Transparency) 익명성 (Anonymity) 불변성 (Immutability) 미래학자이자 블록체인 혁명 (Blockchain Revolution) 의 저자 돈 탭스콧에 따르면 블록체인에 의한 정보의 투명성과 신뢰성의 향상의 가치는 기존의 '정보의 인터넷'에서 '가치의 인터넷' 시대로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블록체인은 향후 인공지능이나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 기술들과도 융복합될 가능성이 높다. 대용량 데이터의 수집과 운용이 중요해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블록체인은 데이터 보안은 물론 개별 데이터에 대한 개인의 통제권을 강화시킴으로써 빅데이터 시장의 확산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의 인물이 쓴 한 편의 논문에서 시작됨 이 논문을 사이퍼펑크(cypherpunk)들의 메일링 리스트로 발송 사이퍼펑크는 중앙집권적인 정부나 기업이 프라이버시를 보장해주지 못하므로 암호기술을 이용해 스스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열린 사회를 추구하려는 단체 이 논문은 탈중앙화된 화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이퍼펑크들의 큰 관심을 받음 사토시 논문의 주요 내용 중앙통제 시스템이 없는 탈중앙화(decentralization)된 P2P(Peer-to-Peer) 네트워크 이전에 해결하지 못한 지급문제(double spending problem)를 해결 거래원장(블록체인)은 모든 참여자에게 공개 참여자들은 거래 원장을 조회할 수 있고, 규칙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검증 가능 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