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연개랑

[Frequency] Haar wavelet transformation 본문

딥러닝/알아두면 좋을 지식

[Frequency] Haar wavelet transformation

승해tmdhey 2025. 4. 15. 03:20
반응형

Haar Wavelet이란?

  • 최초의 웨이블릿(1910년)
  • 매우 단순한 형태의 계단 함수(step function)
  • 한 구간에서 +1, 그 다음 구간에서 -1

수식적 정의:

  • 기본 Haar 함수 (mother wavelet)

  • 여기서 (1, 0)은
    • a = 1 → 스케일(크기)
    • b = 0 → 위치(시간 이동)

(a, b) 파라미터 의미

 

a (scale) 얼마나 wavelet을 압축/확대할지 작을수록 더 좁고 세밀해짐
b (shift) wavelet을 시간축에서 얼마나 이동시킬지 오른쪽으로 움직일수록 더 뒤에 위치함

 

reference. https://www.youtube.com/watch?v=y7KLbd7n75g

  • : 전체 구간에 대한 큰 구조

  • 왼쪽 절반 구간의 구조

  • 오른쪽 절반 구간의 구조

 

→ 그림에서 세 파형이 바로 이걸 시각화하고 있음.


이걸 왜 쓰는가?

직관

  • 큰 스케일(a=1)은 큰 구조 (예: 이미지 전체 밝기 변화)
  • 작은 스케일(a=1/2, 1/4...)은 작은 구조 (예: 경계, 윤곽, 눈, 입 등)

활용

  • Wavelet 변환은 신호를 \psi_{a,b}(t)들로 투영하여
    각 스케일/위치별 "얼마나 잘 맞는지" (내적 값) 계산
    → → 이것이 Wavelet Transform

직교성 (Orthogonality)

  • 서로 다른 wavelet들은 내적이 0

 

  • 이유:
    • 한 wavelet이 +1일 때, 다른 건 +1/−1로 반반 존재 → 합이 0
  • 이 성질 덕분에 모든 신호를 안정적으로 분해 가능

 

해석>다중해상도 분석

스케일해석 범위해상도분석 특징

 

큰 스케일 (a=1) 전체 구간 저해상도 큰 구조만 파악
중간 스케일 (a=1/2) 절반 구간 중간 해상도 중간 크기 구조
작은 스케일 (a=1/4, ...) 세부 구간 고해상도 세밀한 엣지나 변화 감지

→ 그림 오른쪽 위의 Time-Frequency 박스에서
→ 높은 freq 구간일수록 짧은 시간 구간에만 wavelet이 존재하는 걸 볼 수 있음.


핵심 요약

  • Haar wavelet은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wavelet
  • (a, b) 조절로 다양한 시간/주파수 해상도 확보 가능
  • 큰 구조는 긴 wavelet, 작은 세부는 짧은 wavelet
  • 내적 결과가 wavelet transform 결과
  • 이미지/오디오/시계열 모두 분석 가능